니콜로 마키아벨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Y-S.Ko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Y-S.K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Santi di Tito - Niccolo Machiavelli's portrait headcrop.jpg|300px|thumb|니콜로right|타인이 강력해지도록 도움을 준 자는 자멸을 마키아벨리자초한다]]
'''[[w:니콜로 마키아벨리|니콜로 마키아벨리]]'''({{llang|it|Niccolò Machiavelli}}, 1469년 5월 3일 ~ 1527년 6월 21일)는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속담|이탈리아]] 사상가, 정치철학자이다. 그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함께 르네상스인의 전형으로 알려져 있다.
 
9번째 줄:
** 《군주론》(강정인, 김경희 옮김), 제3장 복합 군주국
 
[[File:Pierre Bouillon - L'Enfant et la Fortune.jpg|thumb|right|[[운명]]은 여성이므로 그녀는 항상 청년들에게 이끌립니다.]]
* 하지만 저는 신중한 것보다는 과감한 것이 더 좋다고 분명히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운명]]은 여성이고 만약 당신이 그 여성을 손아귀에 넣고 싶어 한다면, 그녀를 거칠게 다루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냉정하고 계산적인 사람보다는 과단성 있게 행동하는 사람들에게 더욱 매력을 느낀다는 것은 명백합니다.<br>운명은 여성이므로 그녀는 항상 청년들에게 이끌립니다. 왜냐하면 청년들은 덜 신중하고, 보다 공격적이며, 그녀를 대담하게 다루고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 《군주론》(강정인, 김경희 옮김), 제25장 운명은 인간사에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운명에 대처해야 하는가
줄 23 ⟶ 24:
** 마키아벨리의 가묘에 새겨진 말
 
[[File:Machiavelli caricature.jpg|thumb|right|마키아벨리의 현실주의적 정치사상은 국가의 통치자에게 적합한 행위를 처방하는 경우에 핵심적 원리나 중추적 개념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 마키아벨리는 아마도 국가에 대한 [[현실주의]]적인 이론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고 감지했을 것이고, 인간본성에 대한 그의 언급이 예리한 통찰력을 품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체계화되지 못한 채 그의 저작에 산만하게 흩어져 있을 뿐이었다. 인간 본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통찰은 [[토머스 홉스|홉스]]의 출현을 기다려야만 했다. 마키아벨리의 현실주의적 정치사상은 국가의 통치자에게 적합한 행위를 처방하는 경우에 핵심적 원리나 중추적 개념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 강정인, 〈초판 개역본 해제〉, 마키아벨리, 《군주론》(강정인, 김경희 옮김)
줄 31 ⟶ 33:
* [[현실주의]] 사상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 실현 불가능한 이상 사회의 버전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고 …지나치게 도덕을 강조하는 수사를 적나라하게 폭로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마키아벨리 역시 … 담대한 [[이상]]을 제시하고 있다.
** 강정인, 〈니콜로 마키아벨리-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탄생〉 강정인, 김용민, 황태연 엮음,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
[[File:Hukuman Prometheus.JPG|thumb|right|서양 근대의 고뇌와 딜레마는 고대의 신화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 마키아벨리의 생애와 사상은 [[프로메테우스]]적 [[자유]]를 실천하고자 하는 인간은 항상 비운(悲運)을 맞이하며, 이를 꿈꾸는 인간은 비애의 사상가로 남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점에서 서양 근대의 고뇌와 딜레마는 고대의 신화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 강정인, 〈니콜로 마키아벨리-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탄생〉 강정인, 김용민, 황태연 엮음,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
줄 58 ⟶ 60:
* 마키아벨리는 [[크세노폰]],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으로부터 도덕적 가르침을 배우지 않았다. 마키아벨리에 의해 모든 것이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그는 지평을 넓히는 대신 오히려 폭을 좁혔다.
** [[레오 스트라우스]](Leo Strauss), 〈마키아벨리〉(이조영 번역), 레오 스트라우스/조셉 크랍시 엮음, 《서양정치철학사》 (김영수 외 옮김)
[[File:Tree of Knowledge of Good and Evil.jpg|thumb|마키아벨리는 악(惡)을 가르치는 선생이다.]]
 
* 마키아벨리는 악(惡)을 가르치는 선생이다.
** 레오 스트라우스(Leo Strauss), ''Thoughts on Machiavelli''
줄 68 ⟶ 70:
** 최정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0&contents_id=5492 마키아벨리와 행운]〉
 
[[File:Henry_Kissinger.png|thumb|right|오늘날의 세계에서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거나 활용할 수 있는 마키아벨리의 사상이란 실제로 매우 드물다.]]
* 오늘날의 세계에서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거나 활용할 수 있는 마키아벨리의 사상이란 실제로 매우 드물다.
** There is really very little of Machiavelli's one can accept or use in the contemporary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