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루터 킹 주니어

미국의 침례교 목사, 흑인 인권 운동가 (1929–1968)

마틴 루터 킹 주니어(영어: Martin Luther King Jr, 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는 미국의 침례회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 흑인 해방 운동가, 권리 신장 운동가, 기독교 평화주의자이다.

마틴 루터 킹

출처 있음

편집
  • 압제를 당하는 사람들(피압제자)은 세 가지 서로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압제에 대응합니다. 하나는 묵인으로, 자기 자신을 운명에 맡기는 것입니다. 이들은 침묵하며 압제에 적응하고 익숙해집니다. 자유를 향한 어떤 운동이 일어나든, 일부 피압제자는 억압 받은 채 사는 것을 선호합니다.
    • 영어: Oppressed people deal with their oppression in three characteristic ways. One way is acquiescence: the oppressed resign themselves to their doom. They tacitly adjust themselves to oppression and thereby become conditioned to it. In every movement toward freedom some of the oppressed prefer to remain oppressed.
  • 2800년 전,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이집트의 노예 지위를 벗어나 자유를 찾아 '약속된 땅'으로 떠났습니다.
    • Almost 2800 years ago Moses set out to lead the children of Israel from the slavery of Egypt to the freedom of the Promised Land.
  • 그는 곧, 노예가 자신을 구원한 사람을 늘 반기지는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영어: He soon discovered that slaves do not always welcome their deliverers.
  • [...]
  • 탈진의 자유라 하는 말이 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억압의 굴레에 지쳐 포기하고 맙니다. 몇 년 전 애틀랜타주 어느 빈민가에서, 흑인 기타리스트가 거의 매일 이런 노래를 부르고는 했습니다. "너무 오래 그 밑에 있었던지라 나한테는 아무렇지도 않아." 이것이 억압받는 사람들의 삶을 집어삼키고 마는, 부정적인 자유와 체념 유형입니다.
    • 영어: There is such a thing as the freedom of exhaustion. Some people are so worn down by the yoke of oppression that they give up. A few years ago in the slum areas of Atlanta, a Negro guitarist used to sing almost daily: "Been down so long that down don't bother me." This is the type of negative freedom and resignation that often engulfs the life of the oppressed.
  • 옳지 못한 체계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곧 그 체계에 협조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피압제자를 압제자만큼이나 사악하게 만듭니다. 악에 협력하지 않는 것은 선에 협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덕적 의무입니다. 피압제자는 결코 압제자의 양심이 잠들게 해서는 안됩니다. 종교를 통해 모든 사람은 자신이 형제를 지켜주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불의와 차별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지배자에게 당신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올바르다고 말해주는 꼴입니다. 이리 되면 압제자의 양심은 잠에 들 것입니다. 지배를 받는 이들은 이 순간 형제를 지키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묵인은 보다 쉬운 길인 경우는 많지만 결코 도덕적인 길은 아닙니다. 겁쟁이의 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영어: To accept passively an unjust system is to cooperate with that system; thereby the oppressed become as evil as the oppressor. Non-cooperation with evil is as much a moral obligation as is cooperation with good. The oppressed must never allow the conscience of the oppressor to slumber. Religion reminds every man that he is his brother's keeper. To accept injustice or segregation passively is to say to the oppressor that his actions are morally right. It is a way of allowing his conscience to fall asleep. At this moment the oppressed fails to be his brother's keeper. So acquiescence-while often the easier way-is not the moral way. It is the way of the coward.
  • 피압제자가 지배에 저항하는 두 번째 방식은 물리적 폭력과 마음을 좀먹는 증오에 기대는 것입니다. 폭력은 잠시 성과를 이끌어내기도 합니다. 여러 국가가 전투를 통해 독립을 쟁취했습니다. 하지만 일시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폭력은 절대 영원한 평화를 가져오지 못합니다. 아무런 사회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며, 단지 새로우면서도 더욱 복잡한 문제를 만들 뿐입니다.
    • 영어: A second way that oppressed people sometimes deal with oppression is to resort to physical violence and corroding hatred. Violence often brings about momentary results. Nations have frequently won their independence in battle. But in spite of temporary victories, violence never brings permanent peace. It solves no social problem; it merely creates new and more complicated ones.
  • 인종의 정의를 얻기 위해 폭력을 쓰는 것은 타당하지도, 도덕적이지도 못합니다. 폭력이 타당하지 못한 이유는 이것이 나선으로 추락하여 끝내 모든 것을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눈에는 눈'이라는 낡은 법은 모두를 장님으로 만들 뿐입니다. 폭력이 도덕적이지 못한 이유는 상대의 이해를 구하지 않고 오직 그들을 굴복시키려 하고, 어떤 변화를 이끌어내기보다는 절멸시키려 하기 때문입니다. 폭력은 사랑이 아닌 증오 위에서 피어나기 때문에 비도덕적입니다. 폭력은 그저 공동체를 파괴하고 형제애 같은 것은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폭력은 사회를 대화가 아닌, 독백으로 만듭니다. 결국 최후에 폭력은 스스로를 파멸시킵니다. 살아남은 자에게는 억울함을, 파괴자에게는 잔학성을 만들어 냅니다.
    • 영어: Violence as a way of achieving racial justice is both impractical and immoral. It is impractical because it is a descending spiral ending in destruction for all. The old law of an eye for an eye leaves everybody blind. It is immoral because it seeks to humiliate the opponent rather than win his understanding; it seeks to annihilate rather than to convert. Violence is immoral because it thrives on hatred rather than love. It destroys community and makes brotherhood impossible. It leaves society in monologue rather than dialogue. Violence ends by defeating itself. It creates bitterness in the survivors and brutality in the destroyers.
  • 자유를 원하는 피압제자 앞에 열린 세 번째 길은 비폭력 저항입니다. 헤겔 철학의 변증법에서 말하는 통합처럼, 비폭력 저항의 기본 원리는 서로 대립하는 묵인과 폭력, 이 두 측의 극단성과 비도덕성은 피하면서도 둘이 지닌 진실성만을 취하여 조화시키려 노력하는 것입니다. 비폭력 저항은 적을 실제로 공격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묵인주의자에게 동의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악을 상대로 반드시 저항해야 한다는 폭력주의자에게도 동의하여 균형을 맞춥니다. 전자의 무저항과 후자의 잔인한 저항 모두를 기피하는 것입니다. 비폭력 저항을 선택한다면 개인과 집단은 모두 어떠한 부당한 일에도 굴복할 필요도, 불의를 바로잡기 위해 폭력에 의지할 이유도 없어집니다.
    • 영어: The third way open to oppressed people in their quest for freedom is the way of nonviolent resistance. Like the synthesis in Hegelian philosophy, the principle of nonviolent resistance seeks to reconcile the truths of two opposites, acquiescence and violence, while avoiding the extremes and immoralities of both. The nonviolent resister agrees with the person who acquiesces that one should not be physically aggressive toward his opponent; but he balances the equation by agreeing with the person of violence that evil must be resisted. He avoids the nonresistance of the former and the violent resistance of the latter. With nonviolent resistance, no individual or group need submit to any wrong, nor need anyone resort to violence in order to right a wrong.
  • 비폭력 저항은 압제자가 아닌, 압제를 향합니다.
    • 영어: Nonviolent resistance is not aimed against oppressors, but against oppression.
  • Three Ways of Meeting Oppression (1958)

  • 어디든 불의가 존재한다면 모든 곳의 정의에 위협이 됩니다. 우리는 상호성이라고 하는, 빠져나갈 수 없는 관계에 속박되어 있습니다. 이 관계는 운명이라고 하는 천 조각 하나로 묶여 있습니다. 한 명에게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모든 이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영어: Injustice anywhere is a threat to justice everywhere. We are caught in an inescapable network of mutuality, tied in a single garment of destiny. Whatever affects one directly, affects all indirectly.
  • Letter from a Birmingham Jail (1963)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조지아 주의 붉은 언덕에서 노예의 후손들과 노예 주인의 후손들이 형제처럼 손을 맞잡고 나란히 앉게 되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이글거리는 불의와 억압이 존재하는 미시시피 주가 자유와 정의의 오아시스가 되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내 아이들이 피부색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않고 인격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나라에서 살게 되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그 꿈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지금은 지독한 인종 차별주의자들과 주지사가 간섭이니 무효니 하는 말을 떠벌리고 있는 앨라배마주에서, 흑인 어린이들이 백인 어린이들과 형제자매처럼 손을 마주 잡을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는 꿈입니다.
    • 영어: I have a dream that one day on the red hills of Georgia the sons of former slaves and the sons of former slaveowners will be able to sit down together at a table of brotherhood.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n the state of Mississippi, a stat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injustic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oppression, will be transformed into an oasis of freedom and justice.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down in Alabama, with its vicious racists, with its governor having his lips dripping with the words of "interposition" and "nullification" — one day right there in Alabama little black boys and black girls will be able to join hands with little white boys and white girls as sisters and brothers.
  • I have a dream (1963)

  • 역사에는 기본적이면서도 구조적인 것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만일 이러한 것들을 모른다면, 우리 자신과 우리 세계를 무너뜨릴 위험 속에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역사가 보내는 징후를 파악하는 일은, 악(惡)이 자신의 파괴의 씨앗을 품고 있다는 것을 가장 먼저 알려줍니다. 이것은 해가 뜨고 지는 것과도 같은 진실입니다.
    • 영어: There are some things that are as basic and as structural in history, and if we don't know these things, we are in danger of destroying ourselves and our world. Discerning the signs of history, will tell us first that evil carries the seed of its own destruction. That is just as true as the rising and setting of the sun.
  • Discerning the Signs of History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