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Y-S.Ko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Confucius Tang Dynasty.jpg|thumb|250px|중국 당나라의 화가 오도자가 그린 공자의 초상]]
'''[[w:공자|공자]]'''(孔子, 기원전 552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유가와 법가의 시조(始祖)로 떠받들어지는 [[중국]]의 사상가이다.
 
== 출처 있음 ==
8번째 줄:
* 나는 매일 나 자신을 세번씩 반성한다. 남을 위해서 일을 하는데 정성을 다하였든가? [[친구|벗]]들과 함께 서로 사귀는데 신의를 다하였든가? 전수 받은 가르침을 반복하여 익혔는가?
* 나보다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말며, 잘못을 깨달았을 때에는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말을 교묘하게 하고 몸을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자가 드물다.
* 아직 삶도 모르는데 하물며 [[죽음]]을 알 수 있을 것인가?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고, 30세에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하고, 40세에 현혹되지 아니하고, 50세에 하늘이 내게 무엇을 가르치는가를 알며, 60세에 올바른 이야기를 들을 줄 알고, 70세에는 사물의 옮고 그름을 정확히 판단할 줄 알게 됨으로써, 자기 판단에 따라 행동하면 잘못된 점이 없을 것이다.
* 소식(素食)을 먹고 물 마시며 팔을 베고 누웠어도 즐거움이 또한 그 속에 있다. 불의로써 부하고 또한 귀함은 내게는 뜬구름과도 같다.
* 세 사람이 같이 있을 때, 그중 두 사람은 나의 스승으로 삼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좋은 말과 행동을 하였다면 그것을 배울 것이고, 다른 한 사람이 말과 행동이 옳지 못하다면 나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거울로 삼을 것이다.
* 하루 세 번 자기를 돌아보아라.
* 무례한 사람의 행위는 내 행실을 바로잡게 해주는 스승이다.
*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힘들다. 가까이하면 불손해지고 멀리하면 원한을 품는다.
* 널리 배워서 뜻을 도탑게 하며, 간절하게 묻되 가까운 것부터 잘 생각하면 인이 그 속에 있다.
*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사를 논하지 말아라.
* 법령으로써 인도하고, 형벌로써 다스린다면, 백성은 법망을 뚫고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덕으로써 인도하고 예로써 다스린다면 백성은 수치를 알아 바른 길로 나아갈 것이다.
* 지금의 효행(孝行)은 단지 부모를 먹여 살리면 되는 것으로 안다. 개나 말 같은 짐승도 먹여 살리는 일은 능히 한다. 공경하는 마음이 따르지 않으면 짐승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 널리 배우고 그 배운 것을 예의로써 아물려야 한다.
*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자식이 자식답고, 형이 형답고, 남편이 남편답고, 아내가 아내답다. 그럼으로써 집안이 편안하다.
 
== 기타 ==
줄 16 ⟶ 31:
* 자기 자신에 대해서 전력을 다하고 충실하라. 자기를 내버려 두고 남의 일에 정신이 팔려 있는 사람은 자기의 갈 길을 잃어버린 사람이다.
* 한 가지 새로 배운 것을 행동으로 나타내고, 혹은 실지로 이용할 적에 그것은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
* 무례한 사람의 행위는 내 행실을 바로잡게 해주는 스승이다.
* 덕의 정수도 중용에 있다.
* 어느 날 무슨 문제를 안고 온종일 생각해 보았으나 별로 깨닫는 바가 없었다. 결국 생각과 반성만으로는 위태로우며, 배우는 것이 제일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세 사람이 같이 있을 때, 그중 두 사람은 나의 스승으로 삼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좋은 말과 행동을 하였다면 그것을 배울 것이고, 다른 한 사람이 말과 행동이 옳지 못하다면 나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거울로 삼을 것이다.
* 하루 세 번 자기를 돌아보아라.
* 잘난 사람의 행실을 보고는 그 잘난 것을 배우게 되고, 용렬한 사람의 행실을 보고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생각하니 역시 배우게 된다.
* 예의의 실천은 자기를 낮추는 것이다.
* 널리 배우고 그 배운 것을 예의로써 아물려야 한다.
* 지금의 효행(孝行)은 단지 부모를 먹여 살리면 되는 것으로 안다. 개나 말 같은 짐승도 먹여 살리는 일은 능히 한다. 공경하는 마음이 따르지 않으면 짐승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 사람은 그 마음이 성실하다는 것이 큰 힘이다. 백 가지 말과 행동이 오직 성실하다는 한 가닥에 매여 있다.
*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자식이 자식답고, 형이 형답고, 남편이 남편답고, 아내가 아내답다. 그럼으로써 집안이 편안하다.
* 남을 욕하는 말을 입밖에 내지 않으면, 하찮은 소리를 들어도 귀에 담지 않는다. 그리고 군자는 자기가 한 말을 실천 못한 것을 늘 부끄러워해야 한다.
*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
줄 45 ⟶ 54:
* 의를 보고도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 과실을 범하고도 바로잡지 않음을 곧 과실이라 한다. 과실을 범하거든 바로잡음을 꺼려하지 말라.
*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힘들다. 가까이하면 불손해지고 멀리하면 원한을 품는다.
* 군자는 세상을 떠난 후에 이름이 남지 않을 것을 근심한다.
* 물이 지나치게 맑으면 사는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나치게 명석하면 따르는 벗이 없다.
* 나무는 잠잠하고자 해도 바람이 그치지 않으며, 자식은 섬기고자 하나 어버이가 기다리지 않는다.
* 믿음을 얻은 연후에 간(諫)하라. 믿음을 얻지 못하면 비방한다고 한다.
* 소식(素食)을 먹고 물 마시며 팔을 베고 누웠어도 즐거움이 또한 그 속에 있다. 불의로써 부하고 또한 귀함은 내게는 뜬구름과도 같다.
* 지각이 있는 자는 맑기가 물과 같으며, 어진 자는 그 마음의 푸르름이 산과 같으니, 지각이 있는 자는 사람을 움직이며, 어진 자는 항상 그 태도가 고요하다. 그러기에 지혜로운 자는 마음이 즐거우며 어진 자는 그 수명이 길다.
* 먹는 것, 입는 것이 부족하다고 부끄러워할 필요는 없다. 어떠한 희망을 갖고 있느냐가 문제이다.
* 때가 되지 않으면 먹지 않는다.
* 교언은 덕을 문란케 한다.
* 교언영색은 인(仁)이 아니다.
* 사람은 멀리서부터 조심하지 않으면 가까이 근심이 닥친다.
* 현(賢)을 보고는 이와 닮으려 하고 불현(不賢)을 보고는 스스로 각성한다.
줄 68 ⟶ 73:
* 사람이 성(誠)과 신(信)이 없으면, 말과 행동이 모두 허위에 흘러 도저히 사람의 값을 지니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마차에 비하면 수레 바퀴의 굴대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 나는 나면서부터 이것을 아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좋아하여 이것을 빠르게 구했을 따름이다
*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고, 30세에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하고, 40세에 현혹되지 아니하고, 50세에 하늘이 내게 무엇을 가르치는가를 알며, 60세에 올바른 이야기를 들을 줄 알고, 70세에는 사물의 옮고 그름을 정확히 판단할 줄 알게 됨으로써, 자기 판단에 따라 행동하면 잘못된 점이 없을 것이다
* 모욕은 잊어버리고, [[친절]]은 결코 잊지 말아라.
* 아직 삶도 모르는데 하물며 [[죽음]]을 알 수 있을 것인가?
* 법령으로써 인도하고, 형벌로써 다스린다면, 백성은 법망을 뚫고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덕으로써 인도하고 예로써 다스린다면 백성은 수치를 알아 바른 길로 나아갈 것이다.
*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사를 논하지 말아라.
* 군자는 의를 으뜸으로 삼으니, 군자는 용맹이 있으나 의가 없으면 혼란스러울 것이요, 소인은 용맹이 있으면서 의가 없으면 도적질을 할 것이요.
*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내려 보답하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를 내려 보답한다.
* 나라에 도의가 서 있을 때는 당당히 말하고 당당히 행동하지만, 나라에 도의가 문란할 때는 당당히 행동하되 말은 조심해야 한다.
* 군자는 위로 통달하고, 소인은 아래로 통달한다.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 자신에 대하여는 깊이 책망하고, 남에 대하여는 가볍게 책망하면 원망을 멀리 할 수 있다.
* 널리 배워서 뜻을 도탑게 하며, 간절하게 묻되 가까운 것부터 잘 생각하면 인이 그 속에 있다.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