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인용집:편집 지침
한국어판 위키인용집에서는 문서들의 통일성을 위해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서식들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그러한 관례들을 모아두고 있습니다.
일반
편집언어는 한국어, 표기는 한글을 원칙으로 합니다. 한국어가 아닌 경우에는 괄호 안에 다른 언어를 병기할 수 있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나서 분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흔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류는 출신 분류로, 분류:한국 사람, 분류:중국 사람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기본적인 분류는 매체, 사람, 주제가 있습니다. 다른 언어 위키인용집에 동일한 표제어가 있는지 확인하여, 인터위키를 다는 것이 좋습니다.
굵은 글씨, 기울인 글씨, 그 외 각종 시각 효과등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XHTML 태그
편집XHTML 태그를 위키 문법으로 대체할 수 있을 때에는 최대한 위키 문법을 사용합니다.
- 글자를 강조할 때는 <b>, <strong> 대신 '''로 열고 닫아 주세요.
태그를 부득이하게 써야 할 때에는, XHTML Strict 문법에 맞게 사용합니다.
- <b>는 XHTML Strict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strong>을 써 주세요.
- 마찬가지로 <i>, <s>/<strike> 대신 <em>, <del>를 사용합니다.
- <font>는 <span style=" ">과 같은 CSS로 대체해야 합니다.
- 표 속성 중 표의 구조와 관계 없는 부분은 모두 CSS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 다만, border 속성은 CSS로 대체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을 주의해 주세요.
한 칸을 내리는 br 태그는 표나 틀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부득이 써야하는 경우에는 <br />과 같이 씁니다.
- <br>은 XHTML 표준에 맞지 않기 때문에 되도록 쓰지 않습니다.
- <br/>은 XHTML 표준에는 맞지만 몇몇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링크 걸기
편집일반 문서에 위키인용집:, 도움말:, 틀: 등의 이름공간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분류: 이름공간은 예외적으로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로의 링크도 걸지 않습니다. 이것은 인터위키로 대체합니다.
한국어 조사에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 예: 이순신은 (X) 이순신은 (O)
문장 부호
편집- 주의: 이 부분의 제안은 아직 토론 중이니 계속 방침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새 문서 편집에는 참고하되 기존 문서를 고치는데 무리하게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쓸 때는 둥근 따옴표(‘’“”)를 씁니다. 하지만 입력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의 경우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만 입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줄 끝이 아닌 쉼표와 마침표 뒤에는 공백을 하나 이상 넣습니다.
- 반각 문장 부호(U+0020~U+007E)와 전각 문장 부호(U+3000, U+FF01~U+FF5E)가 따로 있을 때, 반각 문장 부호만 쓰고 전각 문장 부호는 버립니다.
- ! (U+FF01: X) → ! (U+0021: O)
- " (U+FF02: X) → " (U+0022: O)
- / (U+FF0F: X) → / (U+002F: O)
- ? (U+FF1F: X) → ? (U+003F: O)
- ~ (U+FF5E: X) → ~ (U+007E: O)
작품 제목 표시에 쓰이는 부호
편집일 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작품 제목을 표기할 때에는 보통 따옴표(' "), 낫표(「 」 『 』), 꺾쇠표(〈 〉 《 》), 부등호(< > << >>) 등을 사용합니다. 낫표와 꺾쇠표의 경우 입력이 불편하고 윈도우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글꼴에는 한글 가로쓰기에 사용하기에는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전각 기호로만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부등호는 꺾쇠표의 대체 기호에 불과합니다.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컴퓨터 화면에서 잘 눈에 띄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위키백과에서는 꺾쇠표를 쓰되 편집창 밑에 특수 문자 입력 바를 만들어 입력의 불편을 해결합니다.
작 품 제목을 쓸 때 한글 제목의 경우 작품 규모에 따라 단행본 등의 대규모 작품 제목은 겹꺾쇠표(《 》), 논문 등의 소규모 작품 제목은 홑꺾쇠표(〈 〉)를 사용합니다. 한자나 일본의 가나를 사용할 때도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로마자 제목의 경우 대규모 작품 제목에는 이탤릭체(기울인 글씨), 소규모 작품 제목에는 큰따옴표(")를 사용합니다. 예: Le Petit Prince, "The Snows of Kilimanjaro"
- 한글 제목에 겹꺾쇠표를 사용하는 작품의 예
- 단행본 이상 규모의 문헌 - 《다빈치 코드》
- 희곡 - 《햄릿》
- 컴퓨터 게임과 비디오 게임 - 《바람의 나라》
- 영화 - 《올드보이》
- 장편시, 서사시 - 《오디세이아》
- 음반
- 교향곡, 오페라 등 - 《핀란디아》
- 텔레비전 시리즈 - 《겨울연가》
- 시각예술 작품 - 《게르니카》
- 한글 제목에 홑꺾쇠표를 사용하는 작품의 예
- 논문, 기사(일회성 보고서 포함) 따위 - 〈시일야방성대곡〉
- 더 긴 작품에서 따온 한 장(章)
- 짧은 시 - 〈황조가〉
- 노래 - 〈가고파〉
- 단편소설 - 〈메밀꽃 필 무렵〉
날짜와 숫자
편집- 날짜나 숫자의 범위를 나타낼 때는 줄표(-) 대신 물결표(~)를 씁니다.
날짜
편집모든 연도, 연대, 세기 문서의 제목은 각각 ‘-년’, ‘-년대’, ‘-세기’로 끝납니다. 이들 접미사 앞에는 공백이 붙지 않습니다. 기원전 날짜를 다루는 문서는 앞에 ‘기원전’이 붙고 그 뒤에 공백이 붙습니다. – 예 : 1950년, 1770년대, 18세기, 기원전 8세기
여기서 연대는 1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나타냅니다. 세기는 100년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19세기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1800년부터 1899년까지가 아님)를 나타내고, 기원전 3세기는 기원전 300년부터 201년까지를 나타냅니다.
날짜에 월·일이 들어 가는 경우 연도와 월·일에 따로 링크를 겁니다. 모든 월·일 문서의 제목은 ‘#월 ##일’ 꼴입니다. 다만 날 부분이 빠질 경우 꼭 필요하지 않다면 되도록 각 달로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 예 : 1980년 3월 13일, 1980년 3월
율리우스력이나 그레고리력이 아닌 다른 역법을 쓸 경우 별도로 명시를 해 줍니다. 특히 음력에서 윤달은 윤달이 아닌 달로 링크를 걸되 보이기는 윤달로 보이도록 합니다. – 예 : 음력 윤4월 7일
시각과 시간
편집어떤 사건이 일어 난 시각 같이 어느 지역에 국한된 시각은 지역 시간대에 맞춰서 표기하고, 세계적으로 적용될 경우 협정 세계시를 씁니다. 이런 경우 되도록 시간대를 함께 써 줍니다. – 예 : 2038년 1월 19일 03:14:07 UTC
시간은 되도록 초, 일(정확히 86400초) 단위로 씁니다. 년 또는 월 단위는 역법이나 기준 시각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간이 필요할 경우 되도록 쓰지 않습니다. 단 천문학에 관련된 문서에서는 율리우스 년(정확히 365.25일)을 함께 쓰기도 합니다.
숫자
편집자릿수가 많은 숫자는 소수점 앞에 세 자리마다 자리표(,)를 붙이거나, 일정한 자리마다 공백을 넣을 수 있습니다. 소수점 앞에 정수부가 없을 경우 항상 0을 덧붙입니다. – 예 : 123,456,789, 12 3456 7890.9876 54, 0.314
필요하다면 수 목록에 수록된 작은 수들에 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단 200부터 1000 사이의 숫자는 보통 200, 300 등의 문서로 합쳐진 경우가 많습니다.
십진법이 아닌 수는 다음과 같이 표시합니다.
- 컴퓨터와 관련된 문서에서는 C (프로그래밍 언어) 계열의 접두어를 씁니다. 16진법은 0x를, 8진법은 0을, 2진법은 0b를 씁니다. 이 경우 접두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 다른 문서에서는 아래첨자(<sub></sub> 태그)로 진법을 씁니다. 10진법 숫자도 필요하다면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 예 : 1379, 803210, 2A912, A87D16
- 11진법 이상의 진법에서는 보통 10부터 35까지의 자리에 로마자 A부터 Z를 씁니다. 소문자는 보통 쓰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0x5AB3’을 ‘0x5ab3’이라고 쓰지는 않습니다.
단위
편집단위 표기는 한글로 풀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예: 시속 50 킬로미터, 300 톤
가급적이면 SI 단위계를 쓰되, 컴퓨터와 관련된 문서에서는 구별이 필요하다면 이진 접두어를 대신 씁니다. 예를 들어 232 바이트는 4 기가바이트(= 4 × 109)가 아닌 4 기비바이트(= 4 × 230)입니다.
인용구 형식
편집위키인용집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인용문을 씁니다.
* 인용문 -- 필자(발언자), 출처·설명
예를 들어 이순신의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를 인용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 -- [[이순신]], [[노량해전]] 중 전사하며.
그리고 화면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필자와 출처 부분에는 적당히 내부 링크를 걸어 줍니다. 링크가 중복이 된다면 나중 것은 걸어 주지 않아도 됩니다.
저자가 확실한 특정한 문헌 자료에서 인용하였다면 필자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번역된 인용문
번역 시에는 한국어로 번역된 인용문을 앞에 두고, 다음 행에 원문을 씁니다. 이중 번역인 경우(예를 들어 러시아어가 원문인 인용문을 영어로 번역한 것)에는 맨 처음의 원문만을 씁니다. 또 원문의 언어를 아는 경우 표시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번역문은 모두 기본 형식과 같이 앞에 ‘*’를 씁니다. 원문의 앞에는 ‘*:’를 씁니다. 즉,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한국어 번역문 *: {{llang|언어 코드|원문}}
예를 들어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Veni, vidi, vici”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인용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 [[율리우스 카이사르]], [[파르나케스]]를 격파하고. *: {{llang|la|Veni, vidi, vici.}}
그리고 화면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만약 원문을 모르는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같은 언어에서 중복으로 번역한다면, 첫 번째 원문에만 {{llang}}를 쓰고 그 다음부터는 {{lang}}를 씁니다.
예를 들어 라틴어인 “Veni, vidi, vici”.와 “Alea iacta est.”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인용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 [[율리우스 카이사르]], [[파르나케스]]를 격파하고. *: {{llang|la|Veni, vidi, vici.}} * 주사위는 던져졌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비콘 강을 건너며 *: {{lang|la|Alea iacta est.}}
그리고 화면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 율리우스 카이사르, 파르나케스를 격파하고.
- 라틴어: Veni, vidi, vici.
- 주사위는 던져졌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비콘 강을 건너며
- Alea iacta est.
언어 코드에 관해서는 ISO 언어부호표를 읽어 주세요.
매체에 관한 인용
편집이는 매체 분류에 포함되는 문서에 해당되는 지침입니다.
속담
편집속담의 경우에는 어느 지역의 속담, 또는 어느 언어의 속담인지 표시해야 됩니다. 어떤 속담인지 알 수 없을 때에는 출처 불분명으로 표시하여 주세요. 또 여러번으로 연속하여 같은 지역, 언어의 속담을 인용한다면 처음으로 인용된 부분에만 링크를 달아 주세요.
한국 속담 몇개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한국 속담]] *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 한국 속담
돈이 돈을 번다. --[한국속담] 한국어 이외의 언어의 속담의 경우에는 번역된 인용문의 형식과 같이 언어를 표시하여 줍니다. 하지만, 영어 속담과 같이 특정한 언어의 속담만 모아 놓은 문서에서는 언어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드라마와 영화
편집도서 및 논문
편집우선 편집하시기 전에 해당 작가에 대한 문서를 만들고, 그 아래에 작품의 이름으로 하위 제목을 만듭니다. 출처의 정확한 서지사항에 대해서는 각주로 답니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 문서에 추가할 경우
== 《[[햄릿]]》(Hamlet) == === 3막 === ==== 1장 ==== *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 햄릿의 독백 : * 영어: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이렇게 추가하신 후에, 쌍따옴표 바로 뒤에 각주를 달아 서지사항을 표기해 주십시오. 인용이 너무 많아져서 한 작가의 문서가 길어지는 경우나, 작가가 한 작품만으로 유명한 경우에는, 분류:희곡에 햄릿과 같이 작품만으로 된 문서를 만든 후, 작가 문서 이하에 링크만 추가합니다.
사람에 관한 인용
편집이는 사람 분류에 포함되는 문서에 해당되는 지침입니다. 사람 문서는 필자를 알 수 있으므로 필자 표시는 하지 않습니다. 출처는 출처, 출전, 년원일, 장소, 시간, 부연 설명 등을 포함합니다.
도입부
편집기본적으로 도입부는 생략해도 됩니다. 처음에 표제어를 굵은 글씨로 나타내며, 간단한 서술을 합니다. 표제어에는 위키백과로 가는 링크를 달아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순신 문서의 도입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합니다.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인종 원년 음력 3월 8일) ~ 1598년 12월 16일(선조 31년 음력 11월 19일)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 수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 남의 장점은 배우고 잘못은 너그럽게 용서하라 -- 조광조